react8 React의 컴포넌트, State사용법 TIL(복습 2일차) 첫 git clone package.json 안에 여러가지 파일들이 있는데 설치파일은 node_modules에 설치할 수 있다. package.json의 파일은 언제든지 재설치가능하기에 node.modules는 깃허브에 올리지 않는다. 그 설정은 .gitignore 에서 파일명을 작성하면 된다. git clone "레파지토리 주소"로 파일들을 받고 git clone한 파일들은 yarn install로 node_modules를 설치하면 된다. 실무 CSS 리뷰 모든 태그에 Emotion을 만들 필요는 없다. 간단한 태그들은 그대로 넣어둬도 된다. padding을 기준으로 만들었다. 전체 height는 고정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내부의 태그에 따라서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자기 자신만 있는 태그는 hei.. 2022. 3. 19. React 초기세팅 TIL(복습 1일차) TIL INTRO. TIL을 안 쓰다가 쓰게 된 계기 코드캠프에서의 지난 60일간 공부에 대한 기록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 그렇게 40일의 수업이 지나가고 코딩을 할 때 순간 기억이 안 나는 부분이 있으면 과거에 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개념을 이해했는지 볼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내 생각이 정리된 게 없어 왜곡된 기억으로 개념을 새로 이해하는 느낌이 강했다. 그래서 이번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복습 할 때는 기록을 해보고자 한다. 공부한 내용, 내가 놓친 내용, 더 공부해야할 내용을 작성하여 내 머리로 채우지 못하는 부분을 이 블로그에 담으려고 한다. 코드캠프에서 배운 내용들 언어 : HTML, CSS, Javascript, Typescript 라이브러리 : React.js, Next.js H.. 2022. 3. 12. 리액트 Immutable, 객체의 불변성 mutable 사전적인 의미로 `변하기 쉬운` Immutable 사전적인 의미로 `불변` 리액트 컴포넌트의 state 를 변경시, 무조건, setState 를 통해서 업데이트 해주어야 하며 기존객체는 불변함을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자칫 잘못했다 나중에 최적화를 제대로 못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Immutable 을 사용 할 때는 다음 규칙들을 기억하기: 객체는 Map 배열은 List 설정할땐 set 읽을땐 get 읽은다음에 설정 할 땐 update 내부에 있는걸 ~ 할땐 뒤에 In 을 붙인다: setIn, getIn, updateIn 일반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 할 땐 toJS List 엔 배열 내장함수와 비슷한 함수들이 있다 – push, slice, filter, sort, concat… 전.. 2022. 2. 8. React router vs Next router Next와 React Next는 React의 기능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Next.js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추가 기능들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React와 유일한 차이는 Router 부분이다. 라우팅을 할 때 Next에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하는데 React는 상대적으로 경로 및 컴포넌트 설정에 있어서 복잡하다고 한다. NEXT에서는 React Router를 사용하지 않고, NEXT에서 개발한 Router를 사용한다. 이는 SSR를 포함하여 한 패키지 안에서 API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React를 중심으로 만들어지기는 했으나, 편리함을 위해 약간씩 React 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next/router Router 객체를 임포트해서 사용하는 next/router는 조금 더 프로그래머에게 제어권을 주.. 2022. 2. 7. 이전 1 2 다음